-
31
-
아리랑의 국면 전개에 관한 거시적 조망
-
강등학;
강릉원주대학교;
(남도민속연구,
v.0,
2013,
pp.7-32)
-
32
-
<돈돌라리>의 형성맥락과 노래의 실상 읽기
-
강등학;
강릉원주대학교;
(민속학연구,
v.0,
2023,
pp.5-30)
-
33
-
자진아라리의 분포와 장르양상에 관한 연구
-
강등학;
강릉대;
(한국민속학,
v.39,
2004,
pp.23-60)
-
34
-
⟨땅다지는소리⟩의 지역적 판도와 노동요적 성격에 관한 연구
-
강등학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민요학,
v.0,
2006,
pp.49-92)
-
35
-
한국의 민요연구 역사와 문제의식의 추이
-
강등학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민요학,
v.27,
2009,
pp.37-82)
-
36
-
강원도 ⟨논매는소리⟩의 기초적 분석과 지역적 판도
-
강등학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민속학,
v.53,
2011,
pp.7-36)
-
37
-
21세기 민속학의 과제와 전망
-
강등학;
강릉대;
(한국민속학,
v.40,
2004,
pp.25-40)
-
38
-
경북지역 ⟨논매는소리⟩의 기초적 분석과 지역적 판도
-
강등학;
강릉대;
(한국민속학,
v.40,
2004,
pp.217-251)
-
39
-
⟨모심는소리⟩와 ⟨논매는소리⟩의 전국적 판도 및 농요의 권역에 관한 연구
-
강등학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민속학,
v.38,
2003,
pp.15-91)
-
40
-
⟨단허리소리⟩의 분포와 관련 국면 검토
-
강등학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민요학,
v.48,
2016,
pp.9-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