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‘쓰다 사학(津田史)’의 신대사(神代史) 해석과 한일 민족의 계통관계
-
세키네히데유키;
가천대학교;
(日本思想,
v.0,
2007,
pp.77-107)
-
32.
- 일본 외교와 전후 아시아주의 : 요시다 노선과 반요시다 노선을 중심으로
- 김남은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249 p., 2016
-
33.
- 엔도 슈사쿠(遠藤周作)『침묵(沈默)』의 논리구조 고찰 : 묘테이몬도(妙貞問答)』와『하다이우스(破提宇子)』를 통해서
- 예지희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69장, 2011
-
34
-
한일 중추절에 대한 비교연구 -한국의 秋夕과 일본의 月見-
-
노성환;
울산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11,
pp.261-283)
-
35
-
『내가 버린 여자(わたしが・棄てた・女)』연구 ―「흔적」의 소설적 변용과 그 상징성을 중심으로―
-
김은영;
충남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09,
pp.337-361)
-
36.
- 일한 번역시 나타나는 오노마토페 번역에 관한 고찰
- 천경태
-
부산외국어대학교, 국내석사,
53 p., 2009
-
37.
- 무간기판(無刊記板) 『세이스이쇼(醒睡笑)』 고찰
- 이은주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132 p., 2010
-
38
-
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『희작삼매』 고찰
-
하태후;
;
(일어일문학연구,
v.71,
2009,
pp.379-399)
-
39
-
일본근대사상 속의 ‘중국’ -후쿠자와 유키치의 중국론을 중심으로-
-
이기용;
선문대학교;
(日本思想,
v.0,
2011,
pp.229-249)
-
40
-
『むぐら』における継子譚
-
이신혜;
;
(일본언어문화,
v.0,
2009,
pp.261-27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