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00건 중 400건 출력
, 37/40 페이지
-
361
-
테이핑 기법에 따른 가임기 여성의 월경통, 월경 증상 및 체온에 미치는 영향 비교
-
이은진;
박재명;
인태성;
정경심;
김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대학원;
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;
김천대학교;
성운대학교;
(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,
v., 29,
2023,
pp.31-38)
-
362
-
성인중기 대학생의 디지털역량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: 자기효능감 매개효과
-
김선화;
최주경;
현영섭;
신은경;
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;
성운대학교;
경북대학교;
경북대학교;
(교육문화연구,
v.31,
2025,
pp.529-550)
-
363
-
고대 중국 葉文系 銅鏡의 기원과 한반도 유입
-
홍인국;
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9,
pp.57-90)
-
364
-
龍洲 趙絅 「南冥曺先生神道碑銘」의 修辭樣相 硏究
-
신승훈;
경성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3,
pp.53-94)
-
365
-
한자음을 통하여 본 국어 음운사의 과제 및 이에 관한 접근 방안 모색
-
이준환;
전남대학교;
(우리말연구,
v.0,
2021,
pp.5-42)
-
366
-
湖西儒學의 展開樣相과 特性
-
황의동;
충남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16,
2003,
pp.7-258)
-
367
-
현대 국어학 연구 맹아기의 지석영과 주시경의 표기·음운·문자 연구의 맥락
-
이준환;
전남대학교;
(규장각,
v.0,
2021,
pp.579-618)
-
368
-
연호문(連弧文)의 제도와 삼한경(三韓鏡)의 기술 계보
-
이양수;
국립청주박물관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4,
2021,
pp.164-183)
-
369
-
한반도 남부 출토 前漢鏡의 제작연대 –중국 전한경 공반 동전에 입각한 고찰
-
박지영;
경북대학교;
(한국고고학보,
v.0,
2014,
pp.4-45)
-
370
-
山西省 臨汾盆地 인명과 지명에 대한 소고―橫北村 유적과 大河口유적을 근거로
-
신세리;
조선대학교;
(중국연구,
v.97,
2023,
pp.109-13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