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00건 중 400건 출력
, 36/40 페이지
-
351
-
범패, 그 존재 이유와 역할에 대한 고찰
-
윤소희;
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;
(불교문예연구,
v.17,
2021,
pp.79-120)
-
352
-
『일본침몰』이 그리는 ‘국토’ 사상
-
김영심;
인하공업전문대학;
(일본언어문화,
v.0,
2011,
pp.453-469)
-
353
-
三句六名에 대한 연구
-
손종흠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13,
pp.375-408)
-
354
-
작업 단계로 본 훈민정음의 제자 과정과 원리
-
백두현;
경북대학교;
(한글,
v.0,
2013,
pp.83-142)
-
355
-
고대 중국 葉文系 銅鏡의 기원과 한반도 유입
-
홍인국;
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9,
pp.57-90)
-
356
-
Vowel Letters of Hunmin-Jeongeum and Phags-pa Script
-
정광,;
;
(國語學 =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,
v.56,
2009,
pp.221-248)
-
357
-
정당정치를 위한 유럽회의주의의 전략적 유용 -이탈리아 정당 사례연구 중심으로
-
오현주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이탈리아어문학,
v.0,
2019,
pp.1-38)
-
358.
- 王士禎의 文學批評 硏究
- 김규선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iii, 217 p., 2008
-
359
-
湖西儒學의 展開樣相과 特性
-
황의동;
충남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16,
2003,
pp.7-258)
-
360
-
從韓語固有詞看上古漢語重紐脣音三等字
-
오세준;
韓瑞大學校;
(중국어문논총,
v.0,
2007,
pp.27-5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