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65건 중 465건 출력
, 36/47 페이지
-
351
-
기억과 기록 - 사회적 기억 구축을 위한 기록학의 역할
-
김명훈;
한국외국어대학교;
(기록학연구,
v.0,
2014,
pp.3-35)
-
352
-
김춘수의 ‘무의미’ 사유 방식 연구-『타령조․기타』, 『남천』을 중심으로
-
김명훈;
포항공과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20,
pp.399-436)
-
353
-
전자기록 환경에서의 세계 각국 평가체제 개편에 관한 연구 -국가적 차원의 영구보존기록 평가전략을 중심으로-
-
김명훈;
한국외국어대학교;
(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,
v.39,
2008,
pp.95-130)
-
354
-
고아들의 감정교육, 해방 전후 이태준 소설의 인정투쟁
-
김명훈;
서울대학교;
(상허학보,
v.41,
2014,
pp.59-91)
-
355
-
전자기록 환경에서의 기능평가 프로세스 분석
-
김명훈;
한국외국어대학교;
(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,
v.39,
2008,
pp.187-214)
-
356
-
두 개의 신화와 두 번의 돌아봄, 그리고 하나이지 않은 X - 김명순의 「도라다볼때」 다시 읽기
-
김명훈;
충북대학교;
(한국현대문학연구,
v.0,
2018,
pp.363-396)
-
357
-
1920년대 초기 ‘예술의 자율성’과 임노월의 예술지상주의 선언
-
김명훈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17,
pp.221-251)
-
358
-
기록과 지식·정보: 기록의 지식·정보 자원화를 위한 시론적 분석
-
김명훈;
한국외국어대학교;
(기록학연구,
v.0,
2017,
pp.45-79)
-
359
-
설교 형식을 결정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
-
김명훈;
평안한 교회;
(신학과 실천,
v.0,
2017,
pp.175-202)
-
360
-
세기말의 '해피엔드', 멜로냐 비극이냐
-
김명훈;
건국대학교;
(스토리앤이미지텔링,
v.0,
2018,
pp.17-4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