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15건 중 315건 출력
, 30/32 페이지
-
291
-
관왕묘(關王廟) 악장의 형성과 개찬의 의미 - 정조와 고종대를 중심으로 -
-
김명준;
한림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16,
pp.5-39)
-
292.
- 중국 소수민족음악의 특징 분석 및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지도방안
- 한신홍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v, 258, 2022
-
293
-
문헌 및 고고자료를 통해 본 고대 장송의례 - 백제를 중심으로 -
-
정재윤;
박초롱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;
(백제학보,
v.0,
2020,
pp.29-53)
-
294
-
대량 이미지 시대와 동시대 미술 현장의 변화
-
문혜진;
서울대학교;
(한국근현대미술사학(구 한국근대미술사학),
v.0,
2021,
pp.99-132)
-
295.
- '서울변방연극제'의 특성에 관한 연구 : 참가작 선정방법과 워크샵 공연을 중심으로
- 박상규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28 p., 2006
-
296.
- 중국 연극에서 백사전의 각색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
- 장치엔난
-
청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53p., 2023
-
297.
- 韓非子의 富國强兵論에 대하여 : 農·戰論을 中心으로
- 김선주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64p., 1985
-
298.
-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한국 전통춤 형태 연구
- 박창희
-
경성대학교, 국내석사,
iv, 75장, 2016
-
299
-
丁酉再亂期 明朝의 派兵 決定과 ‘公議’ -⟨文興君控于錄⟩을 中心으로-
-
차혜원;
연세대학교;
(중국사연구,
v.0,
2010,
pp.239-272)
-
300.
- 중국 신소설 담론의 시대적 욕망과 문예미학적 사유
- 정해리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313 p., 20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