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색어 : 통합검색[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]
-
21
-
박경리의 《토지》에 나타난 숭고미
-
이재복;
한양대학교;
(우리말글,
v.59,
2013,
pp.363-396)
-
22
-
애도와 물신 사이에서 - 『조선영화』를 중심으로 본 1990년대 북한영화 담론
-
김선아;
;
(語文論集 = The journal of language & literature,
v.47,
2011,
pp.321-341)
-
23.
- Slavoj Žižek의 ‘환상’, ‘증상’ 그리고 ‘이데올로기’ 관점에서 본 현(現)교육 실태
- 강동호
-
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, 41 p., 2010
-
24
-
Constructing the collective unconscious
-
Gullatz, Stefan;
Heidelberg, Germany;
(Journal of analytical psychology,
v.55,
2010,
pp.691-714)
-
25
-
현대 실내디자인의 하이브리드 미학적 표현기법과 특성에 관한 연구
-
김은지;
이정욱;
경원대학교 건축학과;
경원대학교 실내건축학과;
(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,
v.16,
2007,
pp.39-47)
-
26
-
애도와 물신 사이에서 -『조선영화』를 중심으로 본 1990년대 북한영화 담론
-
;
;
(어문론집,
v.47,
2011,
pp.321-341)
-
27
-
친일파시즘문학의 숭고 미학적 연구
-
박현수;
경북대학교;
(어문학,
v.0,
2009,
pp.201-233)
-
28
-
박태원 소설의 감성과 이데올로기-⟨명랑한 전망⟩을 중심으로-
-
김미현;
이화여자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13,
pp.369-395)
-
29
-
이미지가 된 글자: 타이포그래피적 숭고
-
김동빈;
동덕여자대학교;
(영상문화,
v.0,
2021,
pp.33-56)
-
30
-
박경리의 《토지》에 나타난 숭고미
-
이재복;
한양대학교;
(우리말글,
v.59,
2013,
pp.363-39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