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김시종의 시와 ‘자서전’-『조선과 일본을 살아가다-제주도에서 이카이노(猪飼野)로』를 중심으로-
-
오세종;
류큐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5,
pp.27-48)
-
22
-
서사에서 유령의 귀환 - 데리다의 관점으로 슈토름의 『백마의 기사』 읽기
-
인성기;
부산대학교;
(독일어문화권연구,
v.0,
2021,
pp.31-58)
-
23
-
해방이전 중국 조선인 문학의 전개양상과 주제의식
-
김환기;
동국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22,
pp.383-409)
-
24
-
[서 평] 왜관조선은 왜 일본사람들을 가두었을까? (다시로 가즈이 지음/ 정성일 옮김)
-
김동철;
부산대학교;
(한일관계사연구,
v.0,
2006,
pp.339-351)
-
25.
- 현대사회의 직업윤리 정립에 관한 연구
- 김신영
-
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57p., 1995
-
26.
- 다산 정약용의 행형(교정)사상 연구 : 흠흠신서를 중심으로
- 정원수
-
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, 국내석사,
v, 89 p., 2012
-
27.
- 高麗水月觀音圖復合樣式淵源的硏究
- 이상순
-
南京藝術學院, 국외박사,
1v.(various pages), 2004
-
28
-
조선후기 성 관련 범죄의 처벌 규정과 재판 양상―『審理錄』⋅『秋官志』와 『欽欽新書』의 판결 사례를 중심으로―
-
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0,
pp.185-223)
-
29.
- 신타지아(퍼포밍타트)공연의 분석
- 김병문
-
동의대학교, 국내석사,
, 2009
-
30.
- 한국의 사이버전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
- 구한림
-
배재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02 p., 20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