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잉마르 베리만의 연극 미학과 연출기법 분석
-
홍재웅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10,
pp.301-326)
-
22
-
20세기 스웨덴 연극의 상호텍스트성과 문화상호주의-로버트 윌슨 Robert Wilson의 ⟨꿈의 연극 Ett Dr?mspel⟩에 나타난 문화상호주의-
-
홍재웅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06,
pp.133-148)
-
23
-
스트린드베리의 『미스 쥴리』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와 권력 투쟁
-
홍재웅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10,
pp.309-330)
-
24
-
『퍼킹 오몰(Fucking ?m?l; Show Me Love)』에 나타난 퀴어 공간
-
홍재웅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05,
pp.183-204)
-
25
-
스웨덴 문화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
-
홍재웅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스칸디나비아 연구,
v.12,
2011,
pp.25-52)
-
26
-
요나스 하센 케미리(Jonas Hassen Khemiri)의 소설에 나타나는 언어적 특질과 그의 정체성
-
홍재웅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스칸디나비아 연구,
v.0,
2012,
pp.1-34)
-
27
-
아동⋅청소년을 위한 스웨덴의 문화정책과 문화자본의 축적
-
홍재웅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스칸디나비아 연구,
v.0,
2010,
pp.17-44)
-
28
-
Multicultural discourse in theatre - The study of Seonho Song’s production of Jonas Hassen Khemiri’s Invasion in Korea
-
홍재웅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14,
pp.243-264)
-
29
-
입센의 극작술과 『인형의 집 Et Dukkehjem』의 현대적 의미
-
홍재웅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15,
pp.309-334)
-
30
-
존재회복을 위한 엘링 옙센(Erling Jepsen)의 글쓰기
-
홍재웅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스칸디나비아 연구,
v.0,
2016,
pp.191-21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