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.
- 영·정조 시대 소재 극문학 콘텐츠 연구 : 영화, TV 드라마, 연극을 중심으로
- 문미종
-
수원대학교, 국내박사,
, 2022
-
22.
- 「閑中錄」에 나타난 作者의 葛藤과 內面世界
- 崔美恩
-
忠南大學校, 국내석사,
70 p., 1999
-
23.
- 『한중록』의 자전소설적 특성 연구
- 정광임
-
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6 L., 2006
-
24
-
영조대 후반 왕실여성들의 정치적 행보와 역할
-
이미선;
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연구소;
(영남학,
v.0,
2024,
pp.195-238)
-
25.
- 그림책으로 들어간 정조의 행차도 : 숫자 책으로 재구성한 정조의 화성 행차도
- 이화
-
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, 국내석사,
38p, 2024
-
26
-
<한중록>과 <붉은 왕세자빈>에 나타난 문화횡단성 연구 -사도세자의 죽음을 중심으로 한 심층심리학적 고찰-
-
손태수;
;
(한국학,
v.31,
2008,
pp.243-269)
-
27
-
1804년(순조 4) 永明尉 洪顯周의 부마 간택과 그 의미
-
김인경;
선문대학교;
(온지논총,
v.0,
2024,
pp.105-140)
-
28
-
「璿源系譜紀略」 正祖 7年本에 관한 연구
-
안미경;
상명대학교;
(서지학연구,
v.0,
2008,
pp.153-179)
-
29
-
한양 80리를 잇는 효원의 도시, 수원 갈비
-
권중걸;
한국식품연구원 성과확산홍보실;
(한맛한얼= Food culture,
v.2,
2009,
pp.72-75)
-
30.
-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관점에서 본 정조의 생활양식 분석
- 김은혜
-
충북대학교, 국내박사,
ix, 178 p., 20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