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.
- 중국 한시(漢詩)를 이용한 중학교 중국어 수업 방안
- 최희주
-
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98 p., 2009
-
22
-
이제마(李濟馬)의 『동무유고(東武遺藁』에 나타난 한시(漢詩) 연구(硏究)
-
노일선;
대원당 한의원;
(사상체질의학회지 =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,
v.11,
1999,
pp.39-50)
-
23
-
한시(漢詩) 분류(分類)와 해석(解釋)을 위한 시각(視角)의 재정립(再定立)
-
송재용;
;
(국어국문학,
v.100,
1988,
pp.169-178)
-
24
-
A Study on the Use of Generative AI Chat GPT in Korean Poetry Reading (讀解) Subjects
-
Park, So-young;
;
(韓國古典硏究 = 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,
v.67,
2024,
pp.107-128)
-
25
-
남효온(南孝溫)의 한시(漢詩)를 통해 본 삶의 방식 - 상처와 치유를 중심으로 -
-
이현정;
이준규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=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,
v.18,
2012,
pp.39-48)
-
26
-
(A) Study on Translation of J.S Gale’s Classic Chinese poetry in Kimunchonghwa (≪記聞叢話≫)
-
Seo, Kang-seon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78,
2018,
pp.197-234)
-
27
-
한시 텍스트마이닝 기법의 적용과 한계
-
;
;
(어문연구,
v.121,
2024,
pp.219-249)
-
28
-
한문과 노래 활용 수업 연구 - 중학교 漢詩를 중심으로 -
-
김해련;
이동재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(漢文古典硏究,
v.47,
2023,
pp.251-275)
-
29
-
이계(耳溪) 홍양호(洪良浩) 한시(漢詩)의 상하층문학 융합의 일단 - 북새(北塞)문학을 중심으로 -
-
權政媛;
부산대학교;
(문화와 융합 = Culture and convergence,
v.39,
2017,
pp.735-766)
-
30
-
A Study on the Aspect and Literary Values of Sino-Korean Poetry That Lee Ga-hwan Left during His Exile Life in the Gimhwa Region
-
Kim, Dong-jun;
;
(梨花語文論集,
v.59,
2023,
pp.33-6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