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066건 중 1,000건 출력
, 3/100 페이지
-
21
-
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불교사상
-
국효문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1999,
1999,
pp.5-45)
-
22.
- 반응 텍스트 쓰기 중심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
- 이홍매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217 p., 2014
-
23
-
한국현대시와 정신주의
-
최동호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09,
2009,
pp.7-23)
-
24
-
한국현대시와 포스트모더니즘
-
이승훈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5,
1993,
pp.249-273)
-
25.
- 한국 현대시 담론의 논쟁사적 접근
- 김태석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iv, 164 p., 2010
-
26
-
한국학으로서 현대시문학의 세계성
-
이민호;
;
(세계한국어문학 = International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6,
2011,
pp.219-241)
-
27
-
한국현대시의 연구성과와 그 전망
-
김은철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2000,
2000,
pp.62-84)
-
28
-
한국 현대시와 종교적 상상
-
최동호;
;
(한국시학연구 = Korean poetics studies,
v.2004,
2004,
pp.9-26)
-
29
-
현대영미시가 한국의 현대시에 미친 영향 -영시학도가 본 한국의 현대시-
-
이창배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3,
1980,
pp.7-52)
-
30
-
김춘수의 산문시 인식 연구 - 『한국 현대시 형태론』을 중심으로
-
최석화;
;
(한국시학연구 = Korean poetics studies,
v.2012,
2012,
pp.309-3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