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.
-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수용에 관한 대화성 연구 : 드라마 <응답하라> 시리즈를 중심으로
- 이서라
-
건국대학교, 국내박사,
vii, 162 p., 2017
-
22
-
임신중지, 영화, 정동정치: 프로-초이스 영화에 나타난 정동과 정동정치의 대안적 시도들
-
김혜진;
한국예술종합학교;
(문화연구(Cultural Studies),
v., 12,
2024,
pp.33-65)
-
23.
- 사실주의적 재현으로 표현되는 풍경화에 대한 연구
- 임경란
-
공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37 장, 2018
-
24.
- 지역 스토리텔링(Storytelling) 이벤트를 위한 실경(實景)무대의 활용사례와 그 의미에 대한 연구 : 불교산사를 실경(實景)무대로 활용한 이벤트를 중심으로
- 문정하
-
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, 국내석사,
iv, 49 p., 2012
-
25
-
한국 언더그라운드 힙합에 대한 문화적 고찰: 하위 문화에서 주류 문화로
-
박우승;
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;
(사회통합연구,
v.2,
2021,
pp.81-124)
-
26
-
자본의 세기, 기업가적 자아와 자서전-1970년대 「재계 회고」와 기업가적 자아의 주체성 구성의 정치학-
-
김혜인;
동국대학교;
(사이間SAI,
v.0,
2015,
pp.151-188)
-
27
-
Nature, lieux et paysages dans les films et dramas corens
-
Jean-Charles Jambon,;
;
(프랑스문화예술연구 = Études de la culture franceçise et des arts en France,
v.21,
2007,
pp.691-716)
-
28
-
판화예술을 넘어: 송번수의 판화작품 연구
-
김윤애;
홍익대학교;
(한국근현대미술사학(구 한국근대미술사학),
v.0,
2024,
pp.205-234)
-
29.
- 한국 문인화에 나타난 소박미 연구
- 윤영혜
-
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, 국내박사,
xi, 113 p., 2025
-
30.
- 남성 누드 포트레이트에 관한 연구 : 작품 〈입영 전야〉를 중심으로
- 강재구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66장, 20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