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327건 중 1,000건 출력
, 3/100 페이지
-
21
-
일본 고전문학 속의‘韓國’이미지의 변용
-
오찬욱;
;
(人文科學硏究論叢 = The journal of humanities,
v.31,
2010,
pp.7-42)
-
22
-
영문(英文) 한국고전문학사 서술의 이해
-
최윤희;
경희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,
2015,
pp.233-261)
-
23
-
『한국문학통사』 다시 읽기 -고전문학사 서술의 지표와 이론-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5,
pp.3-48)
-
24
-
러시아에서의 한국고전문학 - 러시아어로 번역의 역사에 관하여
-
최인나;
;
(韓國學論集,
v.35,
2007,
pp.259-279)
-
25
-
한국 고전문학교육학의 특수성과 보편성
-
김성룡;
호서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13,
pp.5-23)
-
26.
-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의 고전문학 교재 연구
- Sun, Yufan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162 p., 2024
-
27
-
한국 문학에 드러난 거미 상징 연구 - 한국 고전·현대 문학을 중심으로
-
박상익;
강원대학교;
(문학과환경,
v.21,
2022,
pp.35-57)
-
28
-
한국고전문학과 샤머니즘
-
유육례;
조선대학교;
(문학과 종교,
v.20,
2015,
pp.111-133)
-
29
-
한국에서의 일본 고전문학 연구와 제언 - 근대문학 논문 사용 언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
-
박연정;
;
(日本語文學=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51,
2011,
pp.273-284)
-
30
-
한국문학사에서의 고전아동문학 성립가능성에 관한 일고(一考) - 조동일의 『한국문학통사』(제4판, 2005)를 중심으로
-
이민희;
;
(국어국문학,
v.144,
2006,
pp.303-3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