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다문화 시대의 한국 현대시 고찰 - 하종오 시에 나타난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-
-
김정신;
경북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23,
2019,
pp.183-208)
-
22
-
하종오 시의 ‘트랜스담론’과 ‘민족공동권’ 소고
-
최종환;
경희대학교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12,
pp.33-53)
-
23
-
하종오의 시에 나타난 통일, 북한, 북한주민
-
이상숙;
가천대학교;
(아시아문화연구,
v.49,
2019,
pp.125-157)
-
24
-
하종오 시에 나타난 세계시민주의적 생태주의의 복잡성 연구
-
김동명;
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4,
pp.315-354)
-
25
-
다문화시대와 현대시의 새로운 가능성—하종오의 시를 중심으로
-
류찬열;
중앙대학교;
(국제어문,
v.0,
2008,
pp.281-301)
-
26
-
Comparative Reading between Kim jo-gyu and Ha jong-o's poem
-
Park, Ji-hai;
;
(세계문학비교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,
v.62,
2018,
pp.49-66)
-
27
-
결혼이주여성 대상 시에 나타난 다문화 양상 - 하종오 시를 중심으로 -
-
윤혜옥;
조선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15,
pp.451-479)
-
28
-
하종오 시에 나타난 탈북자 형상 - 탈북자, 여성 그리고 분단 생태계
-
이상숙;
가천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9,
pp.255-288)
-
29
-
하종오 시에 나타난 세계시민주의적 생태주의의 복잡성 연구
-
김동명;
부경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4,
pp.315-354)
-
30
-
하종오 시에 나타난 다문화 연구-시집 '입국자들'과 '제국'을 중심으로-
-
류찬열;
중앙대학교;
(다문화콘텐츠연구,
v.0,
2011,
pp.265-2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