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6건 중 106건 출력
, 3/11 페이지
-
21
-
고려인 시문학에 나타난 주제적 특성 연구 - 탈북 고려인 양원식, 리진을 중심으로
-
이연승;
이화여자대학교;
(어문연구,
v.83,
2015,
pp.263-289)
-
22
-
탈북 서사 문학의 서사 전략과 윤리 - 제프 탈라리고(Jeff Talarigo)의 『다시 그 강가에 서다(The Ginseng Hunter)』를 중심으로
-
Baek, Jiyun,;
;
(한국문예비평연구 = Joru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,
v.61,
2019,
pp.35-60)
-
23
-
탈북자 소설에 나타난 북한의 문학정체성 연구
-
이영미;
경희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6,
pp.217-243)
-
24
-
탈북 소재 아동문학 작품의 교육적 수용 방향
-
방은수;
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21,
pp.115-132)
-
25
-
초국가주의시대 미국 문학 속 탈북난민 내러티브 연구
-
김대중;
강원대학교;
(동서비교문학저널,
v.0,
2020,
pp.7-28)
-
26.
- 탈북 작가의 장편 소설 연구
- 권세영
-
아주대학교, 국내박사,
192 p., 2015
-
27
-
탈북의 서사화와 문학적 저널리즘 -장진성과 지현아의 탈북 수기를 중심으로
-
배개화;
단국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17,
pp.231-261)
-
28
-
A case study of literature therapy for refugees - Focusing on the classic narrative of migration and success and the problem of self-realization -
-
Park, Jai In;
;
(다문화사회연구 = The journal of migration & society,
v.11,
2018,
pp.75-103)
-
29
-
탈북민 문학의 현황과 전망 -『망명 북한 작가 PEN 문학』을 중심으로-
-
김효석;
한남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76,
2021,
pp.117-152)
-
30
-
탈북 여성을 향한 세 겹의 시선 :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탈북 여성의 문학적 형상화에 관한 고찰
-
김소륜;
이화여자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7,
pp.109-14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