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문화예술의 공적가치와 문화민주주의
-
최미세;
서울여자대학교;
(독일어문학,
v.22,
2014,
pp.395-416)
-
22
-
문화민주주의에 대한 논의와 현황 - 미국, 유럽, 독일을 중심으로
-
최미세;
서울여자대학교;
(독일어문학,
v.24,
2016,
pp.315-335)
-
23
-
구스타프 말러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정체성과 패러독스적인 음악언어 - 소년의 마술피리 모음집에 기초한 교향곡을 중심으로
-
최미세;
서울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15,
pp.267-287)
-
24
-
음악에 나타난 과학적 성격
-
최미세;
서울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14,
pp.279-296)
-
25
-
문화예술교육과 공공성 - 베를린 필하모니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
-
최미세;
서울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17,
pp.205-229)
-
26
-
“정신적 예술”로서 독일음악 정체성 접근- 괴테, 헤겔, 베토벤을 중심으로
-
최미세;
서울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19,
pp.77-97)
-
27
-
구스타프 말러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정체성과 패러독스적인 음악언어 - 제 8번 천인교향곡 Symphonie der Tausend을 중심으로
-
최미세;
서울여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16,
pp.211-237)
-
28
-
유토피아 - 예술의 미학적 가치와 경제적 윤리의 융합
-
최미세;
서울여자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3,
2012,
pp.397-417)
-
29
-
헤르만 폰 헬름홀츠 ―생리학적인 이론에서 본 음악의 객관성
-
최미세;
서울여자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1,
2010,
pp.121-144)
-
30
-
독일의 문화적 정체성 형성과정과 독일의 문화정책- 프로이센 문화유산재단을 중심으로
-
최미세;
서울여자대학교;
(독일어문학,
v.26,
2018,
pp.203-22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