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6건 중 116건 출력
, 3/12 페이지
-
21.
- 한중세시풍속비교연구 : 여강
- 여강
-
한서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32, 2015
-
22
-
한ㆍ중 단오제의 비교 연구
-
박진태;
;
(比較民俗學 = Asian Comparative Folklore,
v.37,
2008,
pp.77-106)
-
23.
- 韓中 歲時名節 風俗史 比較와 文化政策 硏究
- 이진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박사,
xiv, 323 p., 2017
-
24.
- 한 ‧ 중 정월 세시풍속의 기능별 비교 연구 : 설 ‧ 春節, 정월대보름 ‧ 元宵節을 중심으로
- 오정화
-
경희대학교, 국내석사,
110 p., 2009
-
25
-
중세시기 월남 철학 글쓰기에 대한 예비적 고찰
-
최귀묵;
숙명여자대학교;
(대동철학,
v.0,
2008,
pp.385-408)
-
26
-
세시풍속에 나타나는 조상제사
-
竹田旦;
일본 茨城大;
(비교민속학,
v.0,
2008,
pp.163-180)
-
27.
- 국가 정책과 세시민속의 상관관계 연구 : 한국 설날과 중국 춘절의 비교
- 동하원
-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국내박사,
, 2022
-
28.
- 韓中 주요 歲時風俗의 제의적 특성 비교연구 : 문헌자료를 중심으로
- WANG MEIYUN
-
경희대학교, 국내석사,
102p., 2012
-
29
-
중국(中國) 광서성(廣西省) 전주현(全州縣) 동산요족(東山瑤族) 민속문화(民俗文化) 조사(調査) 약보고(略報告)
-
박대남;
현창주;
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;
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37,
2004,
pp.169-211)
-
30
-
24절기와 세시 체계의 의미와 상관성에 대한 연구
-
김태우;
민병희;
류영희;
경희대학교;
한국천문연구원;
아주대학교;
(민속학연구,
v.0,
2017,
pp.189-21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