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시스템 생태학적 접근법에 의한 넙치생산의 지속성 평가 -2. 넙치 육상양식산업에 대한 예측-
-
김남국;
손지호;
김진이;
조은일;
이석모;
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;
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;
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;
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;
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;
(한국수산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,
v.35,
2002,
pp.660-665)
-
22
-
물질순환모델을 이용한 제주항의 수질관리(Ⅱ)- 제주항의 수질 특성과 오염부하량 산정 -
-
조은일;
강기봉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(한국환경과학회지,
v.12,
2003,
pp.15-22)
-
23
-
제주도 개발사업의 '선보전 후개발' 원칙 적용 사례분석
-
조은일;
허철구;
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;
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;
(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= 한국환경과학회지,
v.23,
2014,
pp.113-128)
-
24
-
제주시 해안경관을 고려한 해수인수관 관리방안
-
조은일;
이병걸;
제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;
제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;
(한국환경과학회지 =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,
v.15,
2006,
pp.871-880)
-
25
-
제주항내 퇴적물의 PCBs 분포특성
-
허륜용;
감상규;
조은일;
제주대학교 대학원;
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;
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;
(海洋環境安全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& safety,
v.22,
2016,
pp.220-227)
-
26
-
가막만의 환경용량 산정( I ) -생태계모델을 이용한 기초생산력 산정-
-
조은일;
박청길;
이석모;
부산수산대학교 환경공학과;
부산수산대학교 환경공학과;
부산수산대학교 환경공학과;
(한국수산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,
v.29,
1996,
pp.369-385)
-
27
-
아베 시기 일본의 ‘자유롭고 열린 인도-태평양’ 지역전략
-
조은일;
한국국방연구원;
(한국과 국제정치,
v.36,
2020,
pp.73-103)
-
28
-
수영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해중 방류법과 3차 처리시설 설치시 비용 비교 분석
-
박해식;
조은일;
박청길;
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;
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;
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;
(한국환경과학회지 =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,
v.8,
1999,
pp.115-123)
-
29
-
연안통합관리계획의 효과적 실행을 위한 지역 Network 시범모델 연구
-
이대인;
조현서;
조은일;
이영철;
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;
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;
제주대학교 해양과학부;
전남대학교 행정학과;
(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,
v.10,
2007,
pp.44-52)
-
30
-
새만금 사업지구의 연안해역에서 부영양화관리를 위한 생태계모델의 적용 -2. 오염부하의 정량적 관리-
-
김종구;
김양수;
조은일;
군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;
군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;
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;
(한국수산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,
v.35,
2002,
pp.356-36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