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081건 중 1,000건 출력
, 3/100 페이지
-
21.
- 제1언어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과 형태 습득 비교 : focus on phonology and morphology
- 백경미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56 p., 2012
-
22.
- 제1언어와 제2언어 습득의 이론적 근거
- 정동석
-
경상대학교, 국내석사,
iii, 50 p., 1999
-
23.
-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영주어와 영목적어 습득 연구
- 정진희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82 p., 2011
-
24
-
Krashen의 제2언어 습득 이론과 그 문제점 비판
-
박원;
;
(교육문화연구,
v.2,
1996,
pp.275-310)
-
25.
- 구성주의에 기초한 어린이의 제 2언어 습득 책략에 관한 연구 : Vygotsky의 가설을 중심으로
- 김병오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1p., 2003
-
26
-
제2 언어 습득의 언어입력(input)과 출력(output)의 역할에 대한 고찰
-
황희정;
신라대학교;
(새한영어영문학,
v.47,
2005,
pp.253-276)
-
27
-
재한 중국유학생의 문화정체감이 제2언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 -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의 매개효과-
-
;
조미영;
쉬저우공정대학 국제교육과;
대진대학교 상생교양대학 교양학부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10,
2024,
pp.749-761)
-
28.
- 제2언어 학습 경험이 제3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에 미치는 효과 연구
- 진황걸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x, 101장, 2023
-
29.
- 한국어화자의 제2언어로서의 스페인어 습득
- 양성혜
-
Universidad Autonoma de Madrid, 국외박사,
x, 446 p., 2001
-
30
-
제2언어 습득의 결정적 시기: 발달학적 모델에 기초한 문헌 분석
-
채수은;
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;
(한국심리학회지:발달,
v.25,
2012,
pp.105-12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