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82건 중 782건 출력
, 3/79 페이지
-
21.
- 시조 작가와 화자 관계의 교육적 의미 연구 : 정철의 시조를 중심으로
- 진영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98 p., 2014
-
22
-
Korean classic writer and alcohol - Focused on Lee Kyu-bo and Jeong-cheol -
-
An, Young-hoon;
;
(東아시아 古代學,
v.55,
2019,
pp.9-21)
-
23.
- 정철의 관동별곡 연구 : 교육적 적용을 중심으로
- 김현주
-
세종대학교, 국내석사,
v, 65 p., 2002
-
24
-
이백과 정철 비교 散論
-
우상열;
중국 연변대학교;
(영남학,
v.1,
2004,
pp.217-234)
-
25
-
정철 시조의 감성 표현 양상
-
이형대;
고려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27,
2009,
pp.101-125)
-
26
-
장르지식으로서 정철 ⟨훈민가⟩의 진술방식 연구
-
오영창;
서울대학교;
(새국어교육,
v.0,
2025,
pp.283-314)
-
27
-
송강 정철의 학문과 정치활동
-
김덕진;
광주교육대학교;
(역사와경계,
v.0,
2010,
pp.189-220)
-
28
-
정철과 박인로의 문학의식 대비연구
-
김용직;
한국문학번역원;
(한국문화,
v.0,
1992,
pp.131-160)
-
29
-
유럽연합 통신규제 정철의 이해와 시사점
-
김방룡;
한국전자통신연구원;
(한국통신학회 2004년도 하계종합학술발표회논문초록집,
v.2004,
2004,
pp.124-124)
-
30
-
정철(鄭澈)전설에 나타난 사건의 계열화와 인물상의 의미 분화
-
한정훈;
전남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6,
pp.447-4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