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8건 중 188건 출력
, 3/19 페이지
-
21.
- 정인보의 인문학적 사유에 의한 민족주체사상 연구
- 배연숙
-
부산대학교, 국내박사,
ii, 197 p., 2012
-
22.
- 生理와 感通에 관한 연구 : 정제두와 정인보를 중심으로
- 조은덕
-
숭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92, 2017
-
23
-
위당 정인보론
-
김영;
인하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8,
pp.396-429)
-
24
-
위당 정인보와 강화학파
-
심경호;
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08,
pp.73-117)
-
25
-
정인보 ‘조선 얼’의 정체성
-
김윤경;
;
(YANG-MING STUDIES,
v.,
2016,
pp.79-123)
-
26
-
A Study on Korean Language Translation of Traditional Hansi in the 1930s-focus on Jeong, In-bo & Kim, So-woel-
-
Chung, So-Yeon;
;
(문학교육학 =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,
v.54,
2017,
pp.191-227)
-
27
-
근대 유교지식인의 주체 인식과 사회적 구현의 문제-정인보의 ‘감통(感通)’론을 중심으로
-
박태옥;
대전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21,
pp.165-190)
-
28
-
Jeong In-bo's Educational Philosophy and Ethnic Education
-
Kim, Yun Kyeong;
;
(敎育哲學硏究 =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,
v.42,
2020,
pp.1-26)
-
29
-
일제강점기 유교지식인의 공동체 인식과 사회적 지향: 정인보의 ‘얼’사상을 중심으로
-
박태옥;
대전대학교;
(인문과 예술,
v.0,
2023,
pp.1-20)
-
30
-
정인보 實心論의 양명좌파적 특징
-
이상호;
;
(양명학,
v.0,
2005,
pp.199-2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