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988건 중 1,000건 출력
, 3/100 페이지
-
21
-
정선(旌善) 아라리의 전승가사(傳承歌詞)와 구연(口演)의 두 양상(樣相)
-
강등학;
;
(국어국문학,
v.96,
1986,
pp.159-182)
-
22.
- 강원도 정선지역 오도비스기 정선석회암의 속성역사
- 奉連息
-
충남대학교, 국내석사,
v, 104 p., 1999
-
23
-
정선 아우라지 출토 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 분석
-
이병훈;
강원도문화재연구소;
(보존과학회지 =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,
v.37,
2021,
pp.545-556)
-
24
-
겸재 정선의 산천재도(山天齋圖) 연구
-
김용권;
겸재정선미술관;
(동양예술,
v.0,
2019,
pp.29-57)
-
25
-
汀線に就て
-
;
;
(Journal of Geography (Chigaku Zasshi),
v.6,
1894,
pp.42-45)
-
26
-
조선 전기 『精選古今名賢叢話詩林廣記』의 판본과 활용 사례
-
류화정;
부산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23,
pp.57-97)
-
27
-
旌善炭田 中部의 地質
-
金志淳;
;
(지질학회지 =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,
v.17,
1981,
pp.126-130)
-
28
-
정선 가리왕산 자연휴양림과 곤드레 나물밥
-
전기환;
한국건강관리협회;
(건강소식,
v.28,
2004,
pp.36-37)
-
29
-
아우라져 흐르는 정선 아라리
-
김태균;
;
(국토 = Planing and policy,
v.188,
1997,
pp.78-82)
-
30
-
汀線に直角方向の漂砂
-
;
;
(海岸工學講演會論文集 = Proceedings of the japanese conference on coastal engineering,
v.25,
1978,
pp.246-24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