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『한중록』의 신고찰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8,
pp.171-198)
-
22
-
기생 잔치판의 노래; <艶謠>
-
정병설;
;
(국문학연구,
v.0,
2005,
pp.207-232)
-
23
-
Propriety and Women in the 18th Century korean Novel: Wanwolhoemaengyon
-
정병설;
;
(The Review of Korean Studies,
v.5,
2002,
pp.191-213)
-
24
-
A Study on Korean Rare Books in the Institute of Oriental Manuscripts, Russian Academy of Sciences
-
정병설;
;
(奎章閣,
v.43,
2013,
pp.145-166)
-
25
-
조선후기 여성소설과 남성소설의 비교 연구- ⟨옥원재합기연⟩과 ⟨옥린몽⟩을 중심으로
-
정병설;
명지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02,
pp.16-428)
-
26
-
移葬 과정을 통해 본 「顯隆園誌」의 성격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藏書閣,
v.0,
2020,
pp.114-135)
-
27
-
⟨금오산유산가⟩와 고향 유람의 의미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9,
pp.37-60)
-
28
-
조선 후기 성(性)의 실상과 배경 -『기이재상담(紀伊齋常談)』을 중심으로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인문논총,
v.0,
2010,
pp.163-202)
-
29
-
한국 대학출판부 설립사 재론: 서울대학교출판부를 중심으로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19,
pp.255-273)
-
30
-
길 잃은 역사 대중화―이덕일의 『사도세자의 고백』에 대한 비판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1,
pp.329-36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