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8건 중 148건 출력
, 3/15 페이지
-
21
-
종실특성에 따라 분류한 벼 이형주군의 Esterase 동위효소 형태변이 및 분리양상
-
김동관;
진일두;
정병관;
전남농업기술원;
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;
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;
(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= 韓國作物學會誌,
v.47,
2002,
pp.206-210)
-
22
-
장기자료 분석과 생물검정실험을 이용한 천수만과 태안해역의 제한영양염 평가
-
김진현;
정원옥;
신용식;
정병관;
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;
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;
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;
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;
(海洋環境安全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& safety,
v.28,
2022,
pp.459-468)
-
23
-
주암호 용수 유입에 의한 영산강 지류 광주천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변화
-
정병관;
김세희;
신용식;
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;
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;
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;
(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= 한국환경과학회지,
v.31,
2022,
pp.431-445)
-
24
-
청계만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개체수의 계절적 변동
-
정병관;
지성;
신용식;
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;
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;
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;
(한국환경과학회지 =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,
v.21,
2012,
pp.313-326)
-
25
-
아산만 해역 동-춘계 대증식기의 플랑크톤 변화
-
박철;
이두별;
이창래;
양성렬;
정병관;
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;
충남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연구본부;
광주대학교 소방방재학과;
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;
(바다 : 한국해양학회지 = The sea :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,
v.13,
2008,
pp.308-319)
-
26
-
영산강 동계 조류 대발생 기간의 규조류 Stephanodiscus spp. 출현양상과 형태적 분류
-
정병관;
김용재;
정승원;
이학영;
신용식;
목포해양대학교 환경.생명공학과;
대진대학교 생명과학과;
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해양시료도서관;
전남대학교 생물학과;
목포해양대학교 환경.생명공학과;
(생태와 환경 =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,
v.47,
2014,
pp.273-281)
-
27
-
개간지에 있어서 마그네슘, 붕소 및 아연 시용이 참깨 제형질변화에 미치는 영향
-
오병석;
김진호;
정병관;
김용재;
국립작물검역소부산지소신선대출장소;
순천대학교 농과대학;
순천대학교 농과대학;
전남대학교 농과대학;
(韓國作物學會誌 =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,
v.39,
1994,
pp.317-322)
-
28
-
경종조건에 따른 벼 이형주의 발생양상과 특성
-
김동관;
권오도;
신해룡;
진일두;
정병관;
전남농업기술원;
전남농업기술원;
전남농업기술원;
순천대학교 농과대학;
순천대학교 농과대학;
(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= 韓國作物學會誌,
v.46,
2001,
pp.429-433)
-
29
-
인위적 담수 유입에 의한 도암만의 환경변화와 식물플랑크톤 변동
-
양응렬;
정병관;
이어진;
류동기;
신용식;
목포해양대학교 환경.생명공학과;
목포해양대학교 환경.생명공학과;
목포해양대학교 환경.생명공학과;
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과학과;
목포해양대학교 환경.생명공학과;
(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= 한국환경과학회지,
v.23,
2014,
pp.1183-1197)
-
30
-
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이용한 영산강하구역 유기물 기원 추정 연구
-
이연정;
정병관;
신용식;
김성환;
신경훈;
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;
목포해양대학교 환경.생명공학과;
목포해양대학교 환경.생명공학과;
경북대학교 화학과;
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;
(생태와 환경 =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,
v.46,
2013,
pp.175-1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