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종교와 과학의 대화 ― 동아시아 문명의 맥락에서
-
장회익;
서울대학교;
(신학연구,
v.51,
2014,
pp.58-81)
-
22
-
조선후기 초 지식계층의 자연관
-
장회익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1990,
pp.583-609)
-
23
-
비평과 생태학적 비평 - 현단계 생태비평의 좌표
-
신철하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1,
2007,
pp.327-355)
-
24
-
칼 포퍼의 <탐구의 논리>와 양자역학의 성향 해석
-
김재영;
한국과학영재학교;
(철학∙사상∙문화,
v.0,
2021,
pp.1-24)
-
25
-
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에코토피아 : 장 지오노의 『세상의 노래』를 중심으로
-
최인령;
서울대학교;
(탈경계인문학Trans-Humanities,
v.16,
2023,
pp.99-136)
-
26
-
Science People 국내
-
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;
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;
(과학과 기술 = The science & technology,
v.36,
2003,
pp.24-25)
-
27
-
생태계 위기와 종교적 영성의 각성 - 우주ㆍ신ㆍ인간적 영성(cosmotheandric spirituality)과 생태학적 중추신경계 비유론 -
-
김경재;
;
(神學硏究 : Theological Studies,
v.46,
2004,
pp.125-154)
-
28
-
여류과학자 - 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 모혜정 교수
-
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;
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;
(과학과 기술 = The science & technology,
v.30,
1997,
pp.62-63)
-
29
-
칼 포퍼의 ⟨탐구의 논리⟩와 양자역학의 성향 해석
-
김재영;
한국과학영재학교;
(철학∙사상∙문화,
v.0,
2021,
pp.1-24)
-
30.
- 山林과 哲學 : 韓國的 山林哲學의 定立을 위한 硏究
- 윤영길
-
순천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p, 20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