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3건 중 93건 출력
, 3/10 페이지
-
21
-
<소현성록> 여성반동인물의 행위 양상과 그 의미
-
장시광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04,
pp.347-375)
-
22
-
대하소설 여성수난담의 성격 — <완월회맹연>을 중심으로 —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,
2012,
pp.7-50)
-
23
-
<명주보월빙>의 여성수난담과 서술자의식
-
장시광;
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8,
pp.309-342)
-
24
-
빈계무신 이데올로기의 전승 과정과 대하소설에의 수용 양상 연구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06,
pp.113-184)
-
25
-
<빈상설>과 고전소설의 관련 양상 및 그 의의 - <사씨남정기>, <창선감의록>과의 관련을 중심으로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3,
pp.71-112)
-
26.
- 1913~1938年間 場市變動의 實態와 原因에 관한 硏究
- 김찬수
-
京畿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40 p., 1989
-
27
-
문화현상에서 스토리텔링 개념 정의와 기능
-
안영숙;
장시광;
;
(온지논총,
v.0,
2015,
pp.329-360)
-
28
-
상사뱀 설화로 본 남명의 남성성
-
한양하;
장시광;
경상대학교;
경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20,
pp.99-129)
-
29.
- 중국어 번역테크닉 : 정영숙
- 정영숙
-
제주대학교 통역대학원, 국내석사,
82 p., 2007
-
30
-
애착의 갈망과 분리불안의 발현‒ ⟨하진양문록⟩ 진세백의 경우
-
장시광;
경상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7,
pp.193-22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