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7건 중 187건 출력
, 3/19 페이지
-
21
-
이해조의 『옥중화』에 나타난 이도영의 출판미술 전략과 성과
-
김예진;
국립현대미술관;
(한국연구,
v.0,
2022,
pp.197-232)
-
22
-
Ghosts Disappeared - The Review on The Blood of Flower by Lee Haejo and Munyeodo by Kim Dongri
-
이철호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40,
2014,
pp.49-80)
-
23
-
근대계몽기의 기계 표상 - 이해조의 번안소설 『텰세계』를 대상으로
-
강정구;
경희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9,
pp.161-184)
-
24.
- 이해조의 「자유종」 연구 : 민족주의와 계몽주의를 중심으로
- 백정현
-
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3장, 2010
-
25
-
역동적 근대의 구체(具體) - 이해조의 초기작 검토
-
소영현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25,
2002,
pp.293-317)
-
26
-
열재 이해조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- 대한제국 관직활동과 국민교육회 활동을 중심으로
-
송민호;
;
(국어국문학,
v.2010,
2010,
pp.241-271)
-
27
-
이해조의 「자유종」에 나타나는 교육구국론의 의미와 한계
-
최성윤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11,
2001,
pp.93-116)
-
28
-
『帝國新聞』 소재 이해조 소설 연구
-
배정상;
;
(동양학,
v.0,
2011,
pp.131-150)
-
29
-
이해조 소설 <구마검>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
-
이근영;
대진대학교;
(한말연구,
v.0,
2017,
pp.115-147)
-
30
-
Changes in the meaning and orientation of reality in the new novel in Lee Hae-jo: Centering on “Gumageom”(1908), “Sancheonchomok”(1912), and “HwauiHyeol”(1911)
-
Lee, Jeongyong;
;
(리터러시연구 =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,
v.15,
2024,
pp.433-46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