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242건 중 1,000건 출력
, 3/100 페이지
-
21
-
묵죽화(墨竹畵)와 탄은(灘隱) 이정(李霆, 1554~1626)
-
진준현;
;
(대한토목학회지 =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magazine,
v.54,
2006,
pp.94-97)
-
22.
- 이정용과 이종성의 삼위일체론 비교 연구
- 서동훈
-
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2
-
23
-
휴양림 예약자를 위한 맞춤형 이정표 시스템
-
박화세;
박준석;
송석일;
고대식;
대림대학교 전자통신과;
세림티에스지(주) 클라우드연구소;
한국교통대학교 컴퓨터공학과;
목원대학교 전자공학과;
(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=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,
v.20,
2019,
pp.2169-2175)
-
24
-
허균과 이정(李楨) -17세기 초 화가 이정과 작가 허균의 교유
-
정환국;
동국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20,
pp.231-265)
-
25.
- 이정법인세 기간배분에 관한 연구
- 고정웅
-
한양대학교, 국내석사,
117p., 1982
-
26
-
계숭(契嵩)의 유·불 융합론과 이정(二程) 형제의 불교 비판 - ‘중용(中庸)’ 또는 ‘중(中)’ 개념을 중심으로 -
-
이현선;
서울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23,
pp.199-233)
-
27
-
남명(南冥)은 어떻게 이정(二程) 형제를 계승했는가? : 사도론(師道論)과 출처론(出處論)을 중심으로
-
정종모;
안동대학교;
(철학탐구,
v.59,
2020,
pp.1-29)
-
28.
- 英·正祖의 科擧改革政策 : 科弊釐正綸音을 中心으로
- 차미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84p., 1986
-
29
-
이정(二程)의 수양론과 경 사상의 체계화
-
김수청;
동아대학교;
(대동철학,
v.0,
2005,
pp.207-225)
-
30
-
宋時烈의 道統論과 文廟釐正 논의
-
우경섭;
;
(韓國文化,
v.37,
2006,
pp.89-12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