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일본어 〈즈레(ずれ)〉로 읽어 본 이상(李箱)― 일본어시 「진단 0:1」과 조선어시 「오감도 시제4호」의 해석을 중심으로
-
김삼숙;
일본 주코대학;
(이상리뷰,
v.0,
2019,
pp.35-64)
-
22
-
이상 문학에서 ‘13인의 아해’에 대한 주석학적 연구
-
김주현;
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;
(어문학,
v.0,
2024,
pp.143-169)
-
23.
- 이상 텍스트에 나타난 시선과 공간의 관련성 고찰
- 모희준
-
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59 p., 2011
-
24.
- 시인 이상(李箱)의 거울 모티프 활용과 분열적 자아의 연구 : 뮤지컬 〈스모크〉 중심으로
- 임병근
-
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08 p., 2021
-
25
-
<오감도(烏瞰圖)-시제1호(詩第一號)>에 나타난 회화성 연구 -시어 ‘그리오’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중심으로-
-
이병철;
명지전문대학;
(한국언어문화,
v.0,
2021,
pp.165-183)
-
26.
- 무용창작작품 「제14인의 아해」에 나타난 불안장애에 관한 연구
- 김지은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xi, 73 p., 2012
-
27.
- 《오감도》에 나타난 공포의식연구
- 김명화
-
숭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38, 2015
-
28.
- 이상 시 연구 : '가족'의 형상을 중심으로
- 최가은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58 p., 2016
-
29.
- 詩第二號와 POEM no.2 : MFA project 2005
- 정재원
-
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, 국내석사,
58장, 2006
-
30.
- 「烏瞰圖」의 현학성 硏究
- 黃貞美
-
대구가톨릭대학교, 국내석사,
iv, 61 p., 20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