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359건 중 1,000건 출력
, 3/100 페이지
-
21
-
이병기를 통해 본 근대적 '문학어'의 창안
-
배개화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89,
2005,
pp.288-318)
-
22
-
서지학자로서의 가람(嘉藍) 이병기(李秉岐) 연구 - 『가람일기』에 나타난 고서 수집 및 거래를 중심으로 -
-
이민희;
강원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1,
pp.193-227)
-
23
-
전통지향과 근대지향의 간극을 넘어서 ‒가람 이병기의 근대의식‒
-
이경애;
전북대학교;
(국어문학,
v.69,
2018,
pp.213-246)
-
24
-
가람 이병기 문학에 나타난 세계인식과 동아시아적 시각
-
이경애;
전북대학교;
(국어문학,
v.82,
2023,
pp.317-356)
-
25
-
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비교 고찰
-
이순희;
경북대학교;
(시조학논총,
v.0,
2014,
pp.179-216)
-
26
-
이병기와 풍류의 시학
-
황종연;
동국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1985,
pp.259-275)
-
27
-
이병기의 시조론과 「문장」의 기획
-
오문석;
조선대학교;
(국제어문,
v.0,
2015,
pp.259-287)
-
28
-
『송강가사(松江歌辭)』에 대한 가람 이병기의 비평과 정전화(正典化)의 실제
-
김윤희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44,
2013,
pp.81-107)
-
29
-
가람(嘉藍) 이병기(李秉岐) 저작물에 관한 기초 연구
-
이민희;
강원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5,
pp.405-457)
-
30
-
근현대 시조의 격조 연구 -이병기, 이호우, 김상옥을 중심으로-
-
이순희;
경북대학교;
(시조학논총,
v.0,
2018,
pp.7-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