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1건 중 151건 출력
, 3/16 페이지
-
21
-
<만파식적>에 나타난 신이성고
-
이구의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75,
2002,
pp.295-319)
-
22
-
崔致遠의 ‘大崇福寺碑銘’攷
-
이구의;
경북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26,
2004,
pp.345-378)
-
23
-
金仁鏡의 삶과 시
-
이구의;
경북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1998,
pp.79-105)
-
24
-
藍溪 表沿沫의 삶과 문학에 나타난 지향의식
-
이구의;
경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2,
pp.201-230)
-
25
-
紫巖 李民寏의 詩文學 硏究
-
이구의;
경북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8,
pp.77-109)
-
26
-
栢村 河鳳壽의 삶과 문학에 나타난 志向意識
-
이구의;
경북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21,
pp.69-97)
-
27
-
高兆基의 삶과 시
-
이구의;
경북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1999,
pp.155-173)
-
28
-
四佳 徐居正의 <次韻祁戶部大平館登樓賦>의 서술양상과 지향의식
-
이구의;
경북대학교;
(국학연구론총,
v.0,
2022,
pp.59-97)
-
29
-
芝山 曺好益의 시에 나타난 自我와 外物
-
이구의;
경북대학교;
(국학연구론총,
v.0,
2021,
pp.9-44)
-
30
-
無?齋 鄭道應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
-
이구의;
경북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5,
pp.217-24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