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덕 윤리학 이론에 관한 평가⒧
-
박성호;
;
(철학논총,
v.59,
2010,
pp.139-154)
-
22
-
도덕교과와 철학, 그 불가피한 내재적 연관성과 학문적 확장 양상 - 박병기의 「도덕 교과와 철학, 그 연속성과 불연속성: 홍윤기의 ‘도덕・윤리의 철학귀속성과 도덕・윤리교육의 정체성’에 대한 도덕교육론적 응답」에 대한 재응답
-
홍윤기;
동국대학교;
(사회와 철학,
v.0,
2007,
pp.229-262)
-
23.
- 지구공동체를 위한 세계윤리 연구
- 김영선
-
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80 p., 2009
-
24
-
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성윤리 교육- 사이버포르노에 대한 정보윤리의 대응방안 -
-
임상수;
서울대학교;
(윤리연구,
v.51,
2002,
pp.5-111)
-
25.
- 生態學的 危機 克服을 위한 環境敎育 體系化 方案 硏究 : 環境倫理敎育의 模型 定立을 中心으로(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a Model in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)
- 趙鎔開
-
대구가톨릭대학교, 국내박사,
ix, 272 p., 2001
-
26.
- 스토아학파의 타인에 대한 윤리 연구
- 정수빈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5, 92, 2024
-
27
-
응용 윤리학의 방법으로서 자연화된 반성적 평형
-
김일수;
한국교원대학교;
(윤리연구,
v.1,
2021,
pp.213-237)
-
28
-
초등 도덕과 교육 목표의 개선 방향 탐색
-
신현우;
청주교육대학교;
(도덕윤리과교육,
v.0,
2006,
pp.61-82)
-
29
-
좋은 사람과 좋은 시민의 긴장 - 아리스토텔레스 정치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
-
장의관;
;
(한국정치학회보 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45,
2011,
pp.5-29)
-
30
-
인간 향상의 도덕교육적 함의
-
추병완;
춘천교육대학교;
(도덕윤리과교육,
v.0,
2015,
pp.55-8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