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한국 혼합현실 서사에 나타난 ‘디지털 사이보그’ 표상 연구-웹소설을 중심으로-
-
유인혁;
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;
(사이間SAI,
v.0,
2020,
pp.404-428)
-
22
-
상실인가, 해방인가?-박완서 소설 『그 남자네 집』에 나타난 기억과 장소의 재구조화 양상
-
유인혁;
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;
(구보학보,
v.0,
2022,
pp.445-483)
-
23
-
한국 근대문학의 용산 -식민지시기 조선인의 용산 경험과 탈식민적 심상지리의 구축
-
유인혁;
;
(구보학보,
v.0,
2019,
pp.211-247)
-
24
-
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불균등발전의 도시공간과 이동성의 주체: 『오만과 몽상』을 중심으로
-
유인혁;
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21,
pp.45-79)
-
25
-
탐정과 도시공간 - 『염마』에 나타난 미로(迷路), 고도(高度), 지하(地下)와 탐색의 플롯
-
유인혁;
;
(구보학보,
v.0,
2017,
pp.384-417)
-
26
-
진보 없는 시대의 유토피아 - 타임루프 장르의 서사학적・기술문화적 맥락과 이데올로기 연구
-
유인혁;
;
(대중서사연구,
v.29,
2023,
pp.217-247)
-
27
-
The City Image in Yeom Sang Seob’s Novels
-
유인혁,;
;
(人文 論叢 : 서울大學校,
v.71,
2014,
pp.245-283)
-
28
-
Digital Literary Mapping : Making Atlas of Literature and Visualizing Literature
-
유인혁,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54,
2017,
pp.87-116)
-
29
-
Yi Gwang Su and Yeom Sang Seob’s Kyungsung -A Study on urban migration’s cultural effects on novels-
-
유인혁,;
;
(사이間Sai,
v.21,
2016,
pp.9-36)
-
30
-
A Study on Chae Man Sik’s Rewriting of Mother - Centered on the (Anti)Initiation of a Male Character
-
유인혁,;
;
(人文 論叢 : 서울大學校,
v.73,
2016,
pp.287-32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