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오키나와의 역사체험과 ‘비무(非武)의 평화’ 사상
-
나미히라 쓰네오;
Ryukyu University;
(아시아리뷰,
v.5,
2016,
pp.259-294)
-
22
-
관동대지진과 민족 하이어라키 -오키나와인의 관점에서 본 재일조선인-
-
조정민;
국립부경대학교;
(한일관계사연구,
v.0,
2024,
pp.297-328)
-
23
-
400년의 류큐·오키나와와 동중국해 기지문제의 현재
-
개번 맥코맥;
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, Emeritus Professor;
(아시아리뷰,
v.5,
2016,
pp.233-258)
-
24
-
전후 일본에서의 해외 지역 현지 조사와 아시아 인식
-
박동성;
순천향대학교;
(순천향 인문과학논총,
v.0,
2011,
pp.37-73)
-
25
-
띠아오위따오/센카쿠렛토 분쟁의 쟁점과 독도에의 함의
-
이창위;
서울시립대학교;
(고려법학,
v.0,
2011,
pp.131-155)
-
26
-
폭력의 기억, 오키나와 문학 - 오에 겐자부로 하이타니 켄지로, 메도루 ??의 경우
-
김응교;
;
(외국문학연구= Foreign literature studies,
v.32,
2008,
pp.51-77)
-
27.
- 戰後 日本의 歷史敎育 政策과 歷史敎育者協議會의 批判 活動
- 구경남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209 p., 2009
-
28.
- 전후 오키나와의 출입관리정책과 사회운동
- 정신혁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118 p., 2010
-
29
-
몽골의 침략과 고려 무인정권 및 삼별초의 ‘島嶼海洋戰略’ - 그 동아시아적 의의
-
姜鳳龍;
;
(東洋史學硏究 = Journal of Asian historical studies,
v.115,
2011,
pp.55-99)
-
30.
- 일본어 경어의 특징
- 이순영
-
계명대학교, 국내석사,
ix, 144, 222p., 200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