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한국 EFL 학생들의 영어 전방 설정 자음 혼동
-
초미희;
경기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10,
2010,
pp.460-466)
-
22
-
“Wilde fruit, which salvage soyl hath bred”: Savagery and Spenserian Justice in the Irena Episode
-
김여경;
정영진;
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이화여자대학교;
(Shakespeare Review,
v.57,
2021,
pp.463-487)
-
23
-
정제 알고리즘을 이용한 한국인 화자의 영어 발화 자동 진단 시스템
-
양일호;
김민석;
유하진;
한혜승;
이주경;
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대학원;
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 대학원;
서울시립대학교 컴퓨터과학부;
서울시립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서울시립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(말소리와 음성과학 =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,
v.2,
2010,
pp.69-75)
-
24
-
EFL College Students' Perceptions toward the Use of Electronic Dictionaries
-
Park, Mae-Ran;
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영어영문학부;
(영어어문교육 =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 teaching,
v.12,
2006,
pp.29-54)
-
25
-
목표계획과정의 영향요인 탐색연구
-
유재욱;
허근;
건국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;
한남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(경영과 정보연구 = Management & information systems review,
v.32,
2013,
pp.1-19)
-
26
-
『자에는 자로』에 나타난 관객 반응 연구
-
남현숙;
동아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(Shakespeare Review,
v.44,
2008,
pp.797-822)
-
27
-
맥베스의 아크라시아
-
남현숙;
동아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(Shakespeare Review,
v.56,
2020,
pp.367-389)
-
28
-
일제 강점기 동안의 우리나라 영어교육: 공립 중등학교를 중심으로
-
오준일;
부경대학교 영어영문학부 교수;
(동북아 문화연구,
v.1,
2020,
pp.357-372)
-
29
-
한국어 조각의문문에 대한 소고
-
전혜원;
부경대학교 영어영문학부 강사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23,
2022,
pp.117-138)
-
30
-
대학과 대학 생활 인식 연구: 한국과 프랑스와 이탈리아 대학생의 개념적 은유 비교연구를 기반으로
-
이창봉;
김은주;
가톨릭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가톨릭대학교 영어영문학부;
(담화와 인지,
v.31,
2024,
pp.35-5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