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‘새로운 전쟁’으로서의 중동전쟁
-
엄한진;
한림대학교;
(아세아연구,
v.56,
2013,
pp.345-379)
-
22
-
종교의 전지구적 보수화와 한국 교회
-
엄한진;
한림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05,
pp.82-102)
-
23
-
이슬람과 근대성
-
엄한진;
한림대학교;
(사회와 이론,
v.0,
2006,
pp.79-114)
-
24
-
한국과 아랍의 정체성 논의 비교
-
엄한진;
한림대학교;
(지역사회학(Korean Regional Sociology),
v.19,
2018,
pp.173-198)
-
25
-
이슬람국가 현상 - 새로운 무질서의 창출인가 강대국 지배의 알리바이인가
-
엄한진;
한림대학교;
(시민과 세계,
v.0,
2015,
pp.124-139)
-
26
-
프랑스 사회통합모델의 특수성과 다문화주의의 도전
-
엄한진;
한림대학교;
(호모미그란스-이주, 식민주의, 인종주의,
v.1,
2009,
pp.47-74)
-
27
-
식민에서 제노사이드로 - 이스라엘 가자 학살의 기원
-
엄한진;
한림대학교 사회학과;
(경제와 사회,
v.0,
2024,
pp.156-187)
-
28
-
예외주의에 갇힌 중동의 소수자 담론
-
엄한진;
한림대학교;
(호모미그란스-이주, 식민주의, 인종주의,
v.23,
2020,
pp.72-105)
-
29
-
다문화, 화려한 수사와 유행을 넘어서 - 엄한진, ��다문화사회론: 이민과 다문화 현상에 대한 성찰적 입문서��(소화, 2011)박단 엮음, ��현대 서양사회와 이주민: 갈등과 통합 사이에서��(한성대학교출판부, 2009)정병호 ‧송도영 엮음, ��한국의 다문화 공간: 우리 사회 다문화 이주민들의 삶의 공간을 찾아서��(현암사, 2011)
-
박경태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94,
2012,
pp.379-385)
-
30
-
대안운동으로서의 강원지역 사회적 경제-‘연대의 경제’론을 중심으로
-
엄한진;
권종희;
한림대학교;
한림대학교;
(경제와 사회,
v.0,
2014,
pp.358-39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