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,303건 중 1,000건 출력
, 3/100 페이지
-
21
-
한국어와 영어 두 언어를 동시에 습득하는 한국어린이의 한국어 후치부정어 습득에 대한 연구
-
Kim, Myung-Sook;
동국대학교 교양교육원;
(인지과학 =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,
v.20,
2009,
pp.383-419)
-
22.
- 중국에서의 제3언어 습득 연구 개관
- 선아남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0, 2022
-
23
-
제2 언어 습득의 언어업력(input)과 출력(output)의 역할에 대한 고찰
-
Hwang Hee Jeong;
;
(새한영어영문학 = The New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,
v.47,
2005,
pp.253-276)
-
24
-
언어의미(言語意味)와 통사지식(統辭知識)이 아동의 언어 발달에 미치는 역할 : 국어(國語) 분류사(分類詞) 습득(習得) 연구
-
이귀옥;
경성대학교 가정관리학과;
(兒童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,
v.18,
1997,
pp.73-85)
-
25.
- 言語習得理論과 그 적용범위
- 이금관
-
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vi, 56p., 1976
-
26
-
第二言語習得過程における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略の役割
-
이현진;
;
(日本語文學=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45,
2010,
pp.81-105)
-
27
-
제2언어 습득에 있어서의 언어보편성에 관한 연구
-
신봉수;
;
(신영어영문학 = The New studies of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,
v.8,
1997,
pp.159-173)
-
28
-
최소주의 관점에서 언어습득의 이해
-
홍선호;
서울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교육,
v.32,
2021,
pp.171-185)
-
29.
- 제1언어 습득과 제2언어 습득의 관계 : 부정문과 의문문 습득을 중심으로
- 백현숙
-
建國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i, 70p., 1992
-
30.
- 理性論의 幼兒 言語習得 硏究
- 정현숙
-
慶北大學校, 국내석사,
56p., 198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