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농민의 풍우(風雨) 인식에 나타나는 지식의 혼종성: 『평택 대곡일기(1959~1979)』를 중심으로
-
안승택;
서울대학교;
(비교문화연구,
v.21,
2015,
pp.249-290)
-
22
-
남양만 갯벌의 어업기술과 토양: 어법과 어구의 분포에 대한 하나의 설명
-
안승택;
지역문화연구소;
(비교문화연구,
v.11,
2005,
pp.5-47)
-
23
-
일본식근대농법과 식민지조선의 농속(農俗) 사이 - 정조식(正條植)장려와 막모관행의 충돌을 중심으로 -
-
안승택;
서울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06,
pp.245-277)
-
24
-
18‧19세기 농서(農書)에 나타난 경험적 지식의 의미 변화와 분화
-
안승택;
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5,
pp.161-206)
-
25
-
장마와 매우(梅雨) 사이: 기후는 식민지 조선의 농업을 어떻게 규정하였는가
-
안승택;
전북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2,
2010,
pp.223-258)
-
26
-
해방 전후 한국농촌의 공동노동과 호락질: 공동노동에서 이탈하는 단독노동 배후의 공동체 이데올로기와 경제논리
-
안승택;
전북대학교;
(비교문화연구,
v.15,
2009,
pp.35-77)
-
27
-
근대초기 ⟨목민심서⟩의 수용과 전근대 실용서의 근대적 고전 되기
-
안승택;
경북대학교;
(영남학,
v.0,
2019,
pp.233-267)
-
28
-
근현대 향촌사회에서 상여를 메던 ‘아랫것들’과 공동체의 ‘살갗’: 경기남부의 사례
-
안승택;
경북대학교;
(한국문화인류학,
v.52,
2019,
pp.53-97)
-
29
-
경기 남부 향촌 사회의 근대적인 중인들 -공동체의 경계/매개와 지역사회체계 시론(試論)-
-
안승택;
경북대학교;
(실천민속학 연구,
v.40,
2022,
pp.9-44)
-
30
-
농민의 환경 인식과 토착적 농사지식: 논 토양 민속분류법의 단순성 문제에 대한 하나의 설명
-
안승택;
경북대학교;
(한국문화인류학,
v.54,
2021,
pp.259-30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