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60건 중 260건 출력
, 3/26 페이지
-
21
-
한국의 韻書와 운서 활용 방식
-
심경호;
;
(한자한문연구,
v.5,
2009,
pp.137-186)
-
22
-
한문고전번역에서 학술 번역의 개념과 그 역할
-
심경호;
;
(한자한문연구,
v.4,
2008,
pp.129-154)
-
23
-
The new situation of the 18 century chosun(朝鮮)'s writing-publishing culture
-
沈慶昊;
Sim Kyung-ho;
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8,
2007,
pp.87-103)
-
24
-
강화학과 담원 정인보
-
심경호;
;
(語文 硏究 : 한국어문교육연구회,
v.28,
2000,
pp.259-285)
-
25
-
다산시경론에 있어서 풍개념의 형성
-
심경호;
;
(韓國文化,
v.9,
1988,
pp.332-337)
-
26
-
전근대 시기의 아동관과 아동의 문학
-
심경호;
;
(창비어린이,
v.5,
2007,
pp.198-222)
-
27
-
대학교수의 방학과 재충전
-
심경호;
고려대 한문학과;
(大學敎育 = Higher education,
v.101,
1999,
pp.102-104)
-
28
-
근대 이전의 한시 학습 방식에 관하여 : 연구,고풍 제작과 초집, 선집의 이용
-
심경호;
;
(語文 硏究 : 한국어문교육연구회,
v.30,
2002,
pp.235-257)
-
29
-
실학 개념의 재정립 : 탐구의 학으로서의 실학
-
심경호;
;
(인간·환경·미래 = Human beings, Environment and Future,
v.1,
2008,
pp.21-48)
-
30
-
『한국고전문학전집』의 문학사적 마력(魔力) : 김만중 외, 심경호 외 역, 『한국고전문학전집』, 문학동네, 2010
-
이민희;
강원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1,
pp.372-38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