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1990년대 독일 신세대 문학과 베를린 - 유디트 헤르만의 소설문학을 중심으로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9,
pp.213-234)
-
22
-
독일 68세대 삶의 양식으로서 여행-베른바르트 페스퍼와 롤프 디터 브링크만의 여행문학 연구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7,
pp.199-218)
-
23
-
독일 식민지 역사에 대한 포스트모던 내러티브 - 크리스티안 크라흐트의 소설 ⟨제국⟩의 서사기법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7,
pp.141-165)
-
24
-
포스트모던 시대의 새로운 고독 - 유디트 헤르만의『여름별장, 나중에』를 중심으로 -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헤세연구,
v.0,
2017,
pp.203-227)
-
25
-
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본 헤르만 헤세의 인도여행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코기토,
v.67,
2010,
pp.169-192)
-
26
-
변화된 매체환경에서의 독문학 수업방안 -대학의 독어독문학 전공수업을 중심으로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1,
pp.211-236)
-
27
-
W. A. 미트구취의 문학을 통해 본 타자성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9,
pp.197-216)
-
28
-
율리아 쇼흐의 「불도마뱀의 몸」에 나타난 경계들과 경계 넘기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20,
pp.111-135)
-
29
-
Testen und Bewerten im lernerorientierten Landeskunde-Unterricht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외국어로서의 독일어,
v.0,
2014,
pp.233-250)
-
30
-
유비쿼터스 학습환경에서 독일문화 교육방안 - PBL 및 UBL 학습법과 창의적 학습결과물 제작 -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헤세연구,
v.0,
2012,
pp.291-31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