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독일 68세대 삶의 양식으로서 여행-베른바르트 페스퍼와 롤프 디터 브링크만의 여행문학 연구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7,
pp.199-218)
-
22
-
20세기 초반 독일과 프랑스 간의 문화교류 - 여행자 교류와 여행산문을 중심으로
-
신혜양;
;
(헤세연구 = Hesse-Forschung,
v.30,
2013,
pp.225-242)
-
23
-
독일대학의 여성 학자 유형과 지원 정책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人文科學硏究,
v.31,
2013,
pp.175-203)
-
24
-
유럽통합과 문화정체성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인문과학,
v.0,
2015,
pp.303-328)
-
25
-
여행문학의 텍스트 전략 - 괴테의 이탈리아 여행의 이중 문학화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人文科學硏究,
v.34,
2016,
pp.93-117)
-
26
-
작가의 여행과 글쓰기 - 루 안드레아스 - 살로메와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러시아 여행 (1900)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6,
pp.205-230)
-
27
-
환상문학으로 본 카프카의 ⟨변신⟩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4,
pp.50-68)
-
28
-
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프로젝트로서의 여행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6,
pp.267-282)
-
29
-
변화된 매체환경에서의 독문학 수업방안 -대학의 독어독문학 전공수업을 중심으로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1,
pp.211-236)
-
30
-
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본 헤르만 헤세의 인도여행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코기토,
v.67,
2010,
pp.169-19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