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0건 중 160건 출력
, 3/16 페이지
-
21.
- 주요섭 번역 양상 연구
- 박주선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15 p., 2023
-
22.
- 한국에서의 장아이링 문학에 대한 수용·번역 양상 연구 : The Rice-sprout song/秧歌를 중심으로
- 王康寧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vii, 113 p., 2015
-
23
-
1960년대 세계문학의 몽타주 그리고 리얼리티 - <세계전후문학전집>을 중심으로
-
박숙자;
서강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49,
2015,
pp.279-309)
-
24
-
로컬리티의 재구성 : 조선/문학/전집의 사상
-
박숙자;
서강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6,
2012,
pp.245-270)
-
25
-
편집자의 탄생과 세계문학이라는 상상력
-
박진영;
연세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3,
pp.423-453)
-
26.
- 미당 서정주 시 연구
- 김영일
-
경성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99p., 2011
-
27
-
번역된 피노키오와 번역되지 않은 피노키오
-
박진영;
성균관대학교;
(사이間SAI,
v.0,
2024,
pp.111-139)
-
28
-
한국고전문학전집의 간행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
-
권혁래;
숭실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1,
pp.161-196)
-
29
-
한국전쟁 이후 아동 과학소설 전집의 장르문학으로서의 가능성 연구 - 해동출판사와 아이디어 회관 전집을 중심으로 -
-
이주성;
모희준;
선문대학교;
선문대학교;
(문화와 융합 = Culture and convergence,
v.40,
2018,
pp.869-888)
-
30.
- 1960년대 아동문학의 분화와 위상 연구 : 아동소설을 중심으로
- 장영미
-
성신여자대학교, 국내박사,
v, 142 p., 20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