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박봉술창 ⟨춘향가⟩ 중 ‘박석티’ 이하 대목의 사설 구성과 특징
-
성기련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음악연구,
v.57,
2015,
pp.101-130)
-
22
-
창의․융합적 사고 역량을 기르기 위한 국악교육의 방향 모색
-
성기련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국악교육연구,
v.10,
2016,
pp.69-98)
-
23
-
홍윤표 소장 154장본 ⟨춘향가⟩에 삽입된가사(歌詞) 계열 노래 연구
-
성기련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음악연구,
v.54,
2013,
pp.71-102)
-
24
-
이보형 채록 판소리 자료의 연구사적 가치 및 특징 - 1969년에서 1990년까지의 채록자료를 중심으로 -
-
성기련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음악연구,
v.59,
2016,
pp.69-98)
-
25
-
18세기 판소리 음악문화 연구
-
성기련;
서울대학교;
(한국음악연구,
v.34,
2003,
pp.165-182)
-
26
-
홍윤표 소장 154장본 ⟨춘향가⟩와 19세기 중엽 중고제(中高制) 판소리와의 관련성 연구
-
성기련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판소리연구,
v.0,
2013,
pp.39-92)
-
27
-
⟨짝타령⟩의 가창방식과 전승양상 연구
-
성기련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음악연구,
v.52,
2012,
pp.83-118)
-
28
-
유성기음반을 통해서 본 당대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
-
성기련;
한국교원대학교;
(판소리연구,
v.0,
2010,
pp.163-194)
-
29
-
고창과 여성명창
-
성기련;
한국교원대;
(판소리연구,
v.0,
2005,
pp.79-112)
-
30
-
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판소리 지도내용 연구
-
성기련;
한국학중앙연구원;
(국악교육연구,
v.9,
2015,
pp.127-15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