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99건 중 199건 출력
, 3/20 페이지
-
21
-
최명길의 상소문에 나타난 글쓰기 방법 연구 - 병자봉사(丙子封事)를 대상으로 -
-
이영호;
계명대학교;
(작문연구,
v.0,
2016,
pp.65-93)
-
22
-
간재(艮齋) 이덕홍의 관직 활동과 상소문에 나타난 임진왜란 대책
-
송석현;
경북대학교;
(국학연구론총,
v.0,
2022,
pp.91-124)
-
23
-
퇴재 권민수의 시와 상소문 일고
-
김원준;
영남대학교;
(국학연구론총,
v.0,
2020,
pp.259-287)
-
24
-
문자생활사 관점에서의 ‘갑자 상소문’ 재평가
-
장윤희;
인하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11,
pp.131-154)
-
25
-
⟨갑자상소문⟩과 ≪훈민정음≫의 두 ⟨서문⟩
-
김주필;
국민대학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16,
pp.113-151)
-
26
-
사직상소문의 문학적 연구를 위한 일고
-
송혁기;
고려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1,
pp.143-180)
-
27.
- 송대 지식인의 사회적 참여의식 연구 : 왕안석과 주희의 상소문을 중심으로
- 이승재
-
成均館大學校, 국내석사,
i, 98 p., 2002
-
28
-
고전소설에 삽입된 상소문의 양상과 기능
-
경일남;
충남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02,
pp.1-23)
-
29
-
A Study of the Petition to the King for Appeal of MyungGok Choi Seok-jeong’s - Focus on the 『InSongMuWonSo ByenMuSaJik IngJinSeonJoSaJeokSo(因宋婺源疏 辨誣辭職 仍陳先祖事蹟疏)』
-
Yoon, Jae-Hwan;
;
(한국문학과예술 =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,
v.27,
2018,
pp.115-146)
-
30
-
기해예송과 1666년 영남남인의 상소 - 류원지, 홍여하, 류세철, 이현일의 상소문을 중심으로 -
-
정명수;
성균관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17,
pp.371-39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