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Writing That Creates Authority and Sentences of Byeon Gye-ryang -Tension between the Traditions of the Joseon Dynasty and Sinocentrism-
-
Kim, Pung-Gi;
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53,
2021,
pp.269-300)
-
22
-
15세기의 ‘風土不同論’과 조선의 고유성
-
MOON, Joong Yang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13,
2013,
pp.45-86)
-
23
-
조선전기 관료문인들의 불교적 내면의식에 관한 연구 - 권근·변계량·김수온·서거정·성현의 시문(詩文)을 중심으로 -
-
김윤섭;
고려대학교;
(禪文化硏究,
v.0,
2016,
pp.179-221)
-
24
-
춘정 변계량의 삶의 자세와 학문의 목표 -한시를 통해 본 여말선초 지식인의 학적 지향과 내면 행로-
-
김남이;
부산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21,
pp.215-242)
-
25.
- 조선 초기 圓壇祭 시행의 난제와 독자 왕조의 의례 모색
- 장래건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80, 2021
-
26.
- 卞季良 文學硏究
- 리성주
-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국내박사,
, 2016
-
27
-
세종대의 景幾體歌 詩形에 대한 연구 - 경기체가의 시상 및 어법의 활용 양상 -
-
김승우;
한림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44,
2013,
pp.99-134)
-
28.
- 상소문을 활용한 화법 교육 방안 연구 : '강경-제술 논쟁'을 중심으로
- 윤하나
-
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104 p., 2009
-
29
-
경기체가 ⟨화산별곡(華山別曲)⟩의 제작 배경과 구성
-
김승우;
전주대학교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32,
2016,
pp.157-189)
-
30
-
春亭 卞季良의 館閣風 漢詩에 대하여
-
김성언;
동아대학교;
(석당논총,
v.0,
2007,
pp.247-26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