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54건 중 554건 출력
, 3/56 페이지
-
21
-
왕겨 배지경에 있어서 양액 농도와 공급 횟수가 국화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
-
황인택;
조경철;
김홍재;
정순주;
김광수;
김정근;
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,
v.44,
2003,
pp.381-387)
-
22
-
김수영 시에 나타난 양가적 의식
-
배개화;
;
(우리말글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36,
2006,
pp.263-296)
-
23
-
이광수 초기 글쓰기에 나타난 ‘감정’의 의미
-
배개화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95,
2007,
pp.349-376)
-
24
-
공간기후모형을 이용한 나주지역 배 개화기 일 최저기온 분포도 작성
-
한점화;
홍경희;
원예연구소 배시험장;
원예연구소 배시험장;
(한국농림기상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논문집,
v.2005,
2005,
pp.202-205)
-
25
-
이태준: 해방기 중간파 문학자의 초상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2,
2010,
pp.473-513)
-
26
-
인삼(Panax ginseng C. A. Meyer)의 성숙한 배로부터 체세포 배발생을 통한 구분화 및 유식물체의 개화
-
이행순;
한국과학기술원 유전공학센터 식물세포생물학연구실,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물학과;
(식물학회지,
v.32,
1989,
pp.145-150)
-
27
-
1930년대 말 '조선' 문인의 '조선어'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
-
배개화;
;
(우리말글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33,
2005,
pp.333-362)
-
28
-
신문학사조사의 방법과 전략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5,
2008,
pp.221-256)
-
29
-
Ultrastructure of Antipodal Cells of Rice (Oryza sativa) after Anthesis, as Related to Nutrient Transport in Embryo Sac.
-
MAEDA, Eizo;
MIYAKE, Hiroshi;
;
(日本作物學會紀事 = Japanese journal of crop science,
v.65,
1996,
pp.340-351)
-
30
-
1930년대 말 치안유지법을 통해 본 조선 문학 - 조선문예부흥사 사건과 조선 문학자들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8,
2009,
pp.205-24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