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러시아 한인(고려인)사회와 정체성의 변화 ―러시아원동 시기(1863~1937)를 중심으로―
-
반병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사연구,
v.0,
2008,
pp.99-124)
-
22
-
‘전면적 집단화’시기 러시아 연해주 수청(水淸) 지방 한인농촌사회의 제문제
-
반병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08,
pp.153-232)
-
23
-
러시아극동지역 한국학 관련 기관과 한인자료 현황
-
반병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04,
pp.135-164)
-
24
-
이범진(李範晉)의 자결(自決) 순국과 러시아와 미주 한인사회의 동향(動向) : 1905년 이후를 중심으로
-
반병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2,
pp.337-387)
-
25
-
러시아혁명 전후 시기 계봉우(桂奉瑀)의 항일민족운동, 1919~1922 : 기독교 민족주의자에서 사회주의자로
-
반병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1,
pp.7-48)
-
26
-
러시아 연해주 지역 항일여성운동, 1909~1920
-
반병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05,
pp.87-130)
-
27
-
홍범도 장군의 항일무장투쟁과 고려인 사회
-
반병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3,
pp.625-661)
-
28
-
러시아 연해주 두만강 하구의 한인마을 크라스노예 셀로(鹿屯島)의 형성과 변화
-
반병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0,
pp.7-38)
-
29
-
러시아지역 한인신문『선봉』과 1920ㆍ30년대 한인사회
-
반병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19,
2003,
pp.63-92)
-
30
-
제2회 특별전로한족대표회의(1918년 6월)와 러시아 한인사회
-
반병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17,
2002,
pp.305-36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