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30건 중 530건 출력
, 3/53 페이지
-
21.
- 박용철의 시에 나타난 시대인식
- 송현희
-
부경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50 p., 2016
-
22
-
The Issue of ‘Technology’ in the Poetry of Park Yong-chul
-
Kim, Hak Jung;
;
(비교한국학= Comparative Korean Studies,
v.32,
2024,
pp.47-80)
-
23
-
박용철 시론에서 ‘체험’의 의미와 시인의 표상 -문학지를 중심으로-
-
박미경;
안동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27,
2023,
pp.55-79)
-
24
-
박용철의 시적 언어론
-
신재기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83,
2004,
pp.253-276)
-
25
-
박용철 시론의 인지시학적 연구
-
김청우;
국립부경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24,
pp.411-449)
-
26
-
박용철(朴龍喆) 시의 음운론적 특성 분석
-
Cho Sung-Moon,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28,
2011,
pp.117-134)
-
27
-
용아 박용철의 금강산 기행 시조 연구
-
김준;
연세대학교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22,
pp.235-260)
-
28
-
박용철의 시론 연구 - ‘존재’와 ‘무명화’의 문제를 중심으로
-
강웅식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39,
2011,
pp.81-104)
-
29
-
생명 사상으로 본 박용철의 시론 - 박용철의 시론 「시적 변용에 하여」 연구
-
황정산;
대전대학교;
(남도문화연구,
v.0,
2016,
pp.323-341)
-
30
-
박용철의 릴케 문학 번역과 수용에 관한 연구-릴케의 문학이 박용철의 창작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
-
김재혁;
고려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46,
2005,
pp.24-4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