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21
-
『더블린 사람들』에서 보이는 함정과 폐소공포증
-
민태운;
전남대학교;
(제임스조이스저널,
v.19,
2013,
pp.53-70)
-
22
-
조이스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에서 보이는 와일드의 미학
-
민태운;
전남대학교;
(제임스조이스저널,
v.17,
2011,
pp.95-114)
-
23
-
「태양신의 황소」에서 제국의 위대한 전통 허물기
-
민태운;
전남대학교;
(제임스조이스저널,
v.19,
2013,
pp.89-108)
-
24
-
(탈)식민지적 남성학적 관점에서 [더블린 사람들] 읽기
-
민태운;
전남대학교;
(제임스조이스저널,
v.13,
2007,
pp.73-94)
-
25
-
"An Encounter": Blooms Day and Goobo's Day
-
민태운;
전남대학교;
(제임스조이스저널,
v.10,
2004,
pp.105-116)
-
26
-
부활절 봉기와 조이스—「키클롭스」장을 중심으로
-
민태운;
전남대학교;
(제임스조이스저널,
v.15,
2009,
pp.75-92)
-
27
-
경주가 끝난 뒤' 에서의 피식민지인의 가면의 삶
-
민태운;
전남대학교;
(제임스조이스저널,
v.10,
2004,
pp.5-22)
-
28
-
가면으로서의 남성성--『율리시즈 』에서 블룸의 경우
-
민태운;
전남대학교;
(영어영문학,
v.52,
2006,
pp.697-714)
-
29
-
조이스에게 있어서 민족/민족어와 영어
-
민태운;
전남대학교;
(제임스조이스저널,
v.9,
2003,
pp.83-104)
-
30
-
「아이올로스」장에서 조이스의 문예부흥운동/게일민족주의 비판
-
민태운;
전남대학교;
(현대영미소설,
v.28,
2021,
pp.87-109)